렌더 파이프라인(Render Pipeline)

3D나 2D 그래픽을 화면에 그리기 위해 데이터와 명령을 처리하는 과정

쉽게 말해서, 게임 오브젝트를 화면에 그리기 위한 과정

 

 

 

유니티 렌더 파이프라인

유니티의 렌더 파이프라인은 크게 3가지로 나뉜다

 

 

빌트인 렌더 파이프라인

(Bulit-In Render Pipeline)

 

유니티의 기본 렌더 파이프라인

 


호환성

  • 초기 버전의 유니티 프로젝트와 호환성이 좋음
  • 다양한 플랫폼에서 동일하게 작동하도록 설계되어 있음

-> 오래된 프로젝트나 다양한 디바이스 지원이 필요한 프로젝트에서 많이 사용

 

간단한 설정으로 빠르게 사용 가능

 

 

레이 트레이싱, 고급 포스트 프로세싱 등의 고급 그래픽 기능을 기본적으로 지원하지 않음

SRP(Scriptable Render Pipeline)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커스터마이징이 어려움

  • 상대적으로 고급 그래픽 효과 구현 어려움

 

 

 

 

 

유니버설 렌더 파이프라인 (URP)

(Universal Render Pipeline)

 

다양한 플랫폼에서 최적화된 성능과 그래픽 품질의 균형을 맞춘 렌더 파이프라인

 

 

SRP(Scriptable Render Pipeline) 구조

  • 렌더링 설정을 쉽게 구성 및 커스터마이징 가능
  • SRP 구조이기 때문에, 빌트인 파이프라인에 비해 세부적인 초기 설정이 필요할 수 있음
  • 특정 오브젝트의 렌더링 순서 지정하거나 커스텀 셰이더 이용 가능

 

 

다양한 포스트 프로세싱 효과 내장되어 있음(Bloom, Motion Blur 등)

쉐이더 그래프 지원

 

 

다양 플랫폼에서 성능 최적화를 중점적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빌트인 렌더 파이프라인보다 더 경량화되어 있음 

이전 URP버전은 경량 렌더 파이프라인(LWRP)이라고 불렀음

 

저사양 플랫폼이나 모바일 게임에 적합

 

 

 

 

 

고해상도 렌더 파이프라인 (HDRP)

(High Definition Render Pipeline)

유니티의 고성능, 고품질 렌더 파이프라인

고사양 플랫폼과 디바이스를 목표로 설계됨

 

SRP(Scriptable Render Pipeline) 구조

  • 커스터마이징 및 세부 설정 가능

 

현실적인 그래픽, 고화질 그래픽 표현을 위해 다양한 고급 렌더링 기능을 지원

  • 고급 조명 시스템
  • 고품질 그림자
  • 향상된 포스트 프로세싱
  • 쉐이더 그래프

 

 

PC, 콘솔등의 고사양 디바이스에 적합

세부적인 초기설정 필요할 수 있음

구버전 유니티 프로젝트와 호환되지 않을 수 있음

'취준 > 기술면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브젝트 풀링(Object Pooling)  (0) 2024.11.14
렌더링 방식 (전방 렌더링,지연 렌더링)  (0) 2024.11.13
Unity 생명주기  (0) 2024.11.11
Unity의 Update  (0) 2024.11.10
MVC (Model-View-Controller) 패턴  (0) 2024.11.09